◆ 2023년 중국경제는 안정 최우선・안정속 성장 정책기조 하에서 제로코비드 정책의 완화에 힘입어 내수를 중심으로 회복세가 개선되는 가운데 4%대 후반 수준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ㅇ 소비자물가(CPI)는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로 비식품 및 서비스가격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확대되어 연간으로는 2% 내외의 오름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ㅇ 거시경제정책은 수요위축·공급충격·기대약화의 세 가지 스트레스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한 완화적인 재정·통화정책이 수행될 것으로 예상
- 재정정책은 리오프닝 초기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안정성장·고용회복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이 지속될 전망
- 통화정책은 특별재대출 프로그램의 운용규모를 확대하고 금융기관의 지급준비율을 추가 인하하는 등 실물경제의 지원강도를 제고
◆ 2023년 중국경제의 회복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① 코로나19 리오프닝 전망 및 경제효과, ② 중국의 부동산시장 부양조치 및 전망을 주요 관심사항으로 선정・분석
ㅇ [코로나19 리오프닝] 리오프닝으로 내수를 중심으로 중국경제 성장세가 점차 강화되겠으나, 노년층 백신접종률 제고, 신종 백신 및 치료제 보급 등 충분한 준비가 전제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방역기조 변화는 리오프닝 과정에서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경기회복 효과도 제한할 우려
ㅇ [부동산시장 부양조치] 중국정부는 최근 부동산기업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시장의 신뢰를 회복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큰 폭의 판매부진과 투자감소가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부동산부문 부진이 성장률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전망
<목 차>
Ⅰ. 최근 중국경제 상황
Ⅱ. 2023년 경제전망
Ⅲ. 주요 이슈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