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추천연구보고서

  • 홈
  • 추천연구보고서

2023년 중국 경제전망 및 주요 이슈

  • 저자

    북경사무소

  • 출처

    한국은행

  • 발행일

    2023-01-02

  • 등록일

    2023-01-16

◆ 2023년 중국경제는 안정 최우선・안정속 성장 정책기조 하에서 제로코비드 정책의 완화에 힘입어 내수를 중심으로 회복세가 개선되는 가운데 4%대 후반 수준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ㅇ 소비자물가(CPI)는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로 비식품 및 서비스가격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확대되어 연간으로는 2% 내외의 오름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ㅇ 거시경제정책은 수요위축·공급충격·기대약화의 세 가지 스트레스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한 완화적인 재정·통화정책이 수행될 것으로 예상

- 재정정책은 리오프닝 초기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안정성장·고용회복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이 지속될 전망

- 통화정책은 특별재대출 프로그램의 운용규모를 확대하고 금융기관의 지급준비율을 추가 인하하는 등 실물경제의 지원강도를 제고


◆ 2023년 중국경제의 회복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① 코로나19 리오프닝 전망 및 경제효과, ② 중국의 부동산시장 부양조치 및 전망을 주요 관심사항으로 선정・분석

ㅇ [코로나19 리오프닝] 리오프닝으로 내수를 중심으로 중국경제 성장세가 점차 강화되겠으나, 노년층 백신접종률 제고, 신종 백신 및 치료제 보급 등 충분한 준비가 전제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방역기조 변화는 리오프닝 과정에서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경기회복 효과도 제한할 우려

ㅇ [부동산시장 부양조치] 중국정부는 최근 부동산기업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시장의 신뢰를 회복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큰 폭의 판매부진과 투자감소가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부동산부문 부진이 성장률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전망


<목 차>

Ⅰ. 최근 중국경제 상황

Ⅱ. 2023년 경제전망

Ⅲ. 주요 이슈

  • 담당자

    유다형

  • 전화번호

    032-260-2618

  • 이메일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하기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