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징진지 도시군의 현황과 과제
- 등록일
2014-04-07
첨부파일
2014년『징진지보고서』에 따르면 베이징과 톈진의 종합경쟁력은 매우 높은 반면 허베이의 1인당 GDP는 두 지역 비해 낮을 뿐만 아니라, 전국 평균 수준보다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도시화 중간단계에 머뭄
지역 내 경제발전 불균형으로 중소형도시에서 베이징과 톈진으로 인구가 유입되는 현상을 보임
통계에 따르면 2005년에서 2010년 사이 허베이에서 베이징으로 유입된 노동인구는 매년 약 100만 명 정도이며, 톈진은 약 60만 명에 달하고, 점차 유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임
2010년 제6차 인구조사에 따르면 허베이에서 베이징으로 유입된 인구는 155.9만 명으로 베이징에 상주하는 외지인구의 22.1%를 차지함
톈진의 경우 허베이에서 유입된 인구는 75.45만 명으로 텐진 상주 외지인구의 25.2%를 차지함
이러한 노동인구 유출은 허베이성의 도시화 발전 속도, 규모,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베이징과 톈진과 같은 대도시들에게는 운영과 관리에 큰 부담이 됨
베이징시 중심에는 기업과 여가, 유통이 모두 밀집해 있으며, 베이징중심지의 인구밀집은 최근 10년 동안 점차 심각해짐
인구 분산을 위해 왕징(望京) 신도시, 후이롱관(回龙观) 신도시 등을 건설해 주거 인구를 외곽으로 이동시켰지만, 기업, 여가, 쇼핑센터가 중심지역에 몰려있음
출퇴근시간마다 벌어지는 교통 혼잡은 산업이전과 주민들의 생활편의는 전혀 고려하지 않아 여전히 문제점이 존재
보고서에서는 베이징, 톈진, 허베이 공동참여의 신도시 및 개발단지 모델 제안
베이징 신공항 건설을 징진지의 국가급 경제구역합작시범구로 공동 신청
톈진의 투자와 무역 편의를 위한 종합개혁신구를 베이징, 허베이가 공동 참여할 것을 제의함
징진지의 과학기술산업 발전을 위해 과학단지노선을 “중관촌(中关村:베이징)-이장(亦庄:베이징)-랑팡(廊坊:허베이)-우칭(武清:톈진)-베이천(北辰:톈진)-둥리(东丽:톈진)-빈하이신구(滨海新区:톈진)”로 연결하여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함
<출처 : 京津冀蓝皮书:省际产业转移可税收分享, 新京报, 201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