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6

  •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동향 및 특징

    중국은 최근 수년간 국제수지 흑자로 외환보유고가 2010년말 기준 2조8,473억 달러로 2005년 대비 2.5배, 5년간 연평균 28.3%의 성장을 보이며 전 세계 외환보유고의 31.7% IMF자료에 의하면 2010년 말 현재 전세계 외환보유액 8조9,860억 달러를 차지. 2002년부터 2010년 까지 중국의 대외직접투자는 연평균 52%의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자국기업의 해외투자를 적극 장려, 세계 투자시장의 큰 세력으로 등장. 2010년 중국의 비금융부문 대외직접투자 규모는 590억 달러로 전년대비 36.3% 증가, 중국은 개혁개방이래 전 세계 170개국에 걸쳐 약 1.6만개의 해외기업에 총 2,458억 달러를 투자함.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2009년까지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자료를 바탕으로 유동량과 분야, 주체 등 동향과 투자 특징을 살펴봄.   <목 차> 1.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유동량 2.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지역별 현황 3.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업종별 현황 4.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주체별 현황5. 최근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특징 및 전망

    • 등록일 2011.03.08
  • 중국의 해외경제무역합작구 설립과 기업의 해외진출

    중국정부는 중국기업의 국제화와 해외진츨을 촉진하기 위해 기업이 주체가 되어 해외지역에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건설, 경제무역발전과 공동이익을 창출하고자 하고 있다. 이에 2006년 11월 26일 최초로 ‘하이얼-루바 경제구역’이 파키스탄에 건립되면서 중국 기업과 지방정부의 해외 진출이 활기를 띠게 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중국의‘합작구’설립 배경과 현황을 살펴보고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전망과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목 차> 1. 중국의 해외경제무역합작구 추진배경 및 현황 2. 해외경제무역합작구 운영방식 및 유형 3. 해외경제무역합작구 설립사례4. 시사점

    • 등록일 2011.02.21
  • 대-중 분쟁에서 평화의 중심으로 떠오르는 진먼도

    대만의 진먼(金門)도는 중국의 푸젠성(福建)과 해협을 사이에 두고 제일 가까운 직선거리가 2km에 불과해 양안간 군사적 충돌이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지던 분쟁지역으로 대만인도 진먼섬을 출입하기 위해서는 허가를 받아야 했던 대표적 분쟁지역. 그러나, 푸젠성의 샤먼 경제특구와 대만기업투자구에 대한 대만 기업의 투자가 활발히 일어나고, 양안간 경제협력기본협정(ECFA)를 체결하는 등 정치적 긴장 완화와 함께 대만과 중국간 경제적 협력관계가 밀접해 지고, 미사일 개발로 이 지역의 군사적 중요도가 저하되면서 진먼섬에 주둔하던 대만 병력이 10만에서 1만으로 줄어듬.또한 진먼과 대륙과의 직항 개설과 직접무역을 허가하는 소삼통이 시행되면서, 상호 방문과 경제교류가 자유롭게 되자 진먼은 이제 양안의 평화 중심으로 떠오르며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됨. 진먼은 중국과 대만의 대표적 분쟁지역으로 지금까지 우리나라 서해의 벤치마킹 대상으로 자주언급되는 지역임. 이로 인해 진먼도의 요새화는 서해5도 지역의 군사시설 확대 문제가 대두될 때마다 자주 인용되기도 함. 그러나 현재 진먼은 요새화 정책을 포기하고 중국과 대만의 정치적 긴장완화와 함께 경제적 협력이 강화되면서, 양 지역의 평화와 협력의 상징이 되고 있음. 이 지역은 양 지역의 정치·경제적 협력에 앞서 시범지역으로 소삼통을 시행하고 군사시설을 축소하는 등, 평화 유지와 협력의 기반이 됨. 따라서, 남한과 북한의 정치적·군사적 긴장 완화와 통일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진먼도와 같이 평화와 협력을 위한 시범지역 또는 완충지역 구축이 필요. 대만은 육지가 아닌 해협을 사이에 두고 있는 진먼도를 시범지역으로 선정하여 군사적 안보를 확보하면서 제한적 협력과 개방을 추진한 후 중국인에 대한 대만 본토 개방을 추진. 따라서 군사적 안보를 확보하면서 제한적 협력과 개방을 추진할 수 있는 지역을 시범지구 또는 완충지역을 발전시켜 남북간 평화를 정착시키고, 통일에 대비하는 기반 조성이 필요. <목 차> 1. 대만과 중국의 최전선 진먼도 2. 진먼도 평화개발 정책 및 인프라 조성 3. 평화 정착과 개발로 활력을 되찾아가는 진먼도4. 시사점

    • 등록일 2011.02.08
  • 중국인 해외관광 현황 및 전망

    중국의 관광산업 육성과 개방 정책, 그리고 경제의 지속적 성장으로 중국인의 해외관광은 계속해서 확대되는 추세를 보임. 이는 2011년에도 계속될 전망이며, 쇼핑과 휴양, 서구문화 경험 등 중국 관광객의 해외여행에 대한 기호가 변화하고 해외여행 빈도수가 늘어나면서 해외여행지도 가까운 동남아에서 유럽, 미주 지역으로 전환되는 성향을 보임.  <목    차> 1. 중국의 관광산업 활성화 및 개방 정책 2. 2010년 1~3분기 중국인 해외관광 동향 분석 3. 2011년 중국인 해외관광 전망4. 시사점    

    • 등록일 2011.01.17
  • GDP를 통한 중국 100대 도시 발전 잠재력 전망

    GDP는 한 국가의 국경내에서 이루어진 생산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경제의 글로벌화와 함께 기업의 해외진출이 늘어나게 되면서 기존의 GNP가 대외수취소득을 정확하게 산출하는 것이 어려워지자 이에 대체하여 GDP가 경제성장률을 추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게 됨.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1994년~2007년까지 중국의 100대 시와 직할구(市轄區)의 GDP를 통해 각 도시들의 미래 경제발전에 대해 전망해 봄.   <목    차> 1. 중국의 도시별 GDP 현황 2. GDP를 통한 중국 도시의 발전 잠재력 전망 3. 도시별 발전 단계 전망 

    • 등록일 2011.01.03
  • 중국기업의 해외 M&A 현황

    2001년 이래 중국기업의 해외 인수합병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08~2009년까지 중국기업의 에너지 및 자원과 관련된 기업의 해외 인수합병이 급증하여 세계 각국의 주목을 받음. 본 보고서에서는 중국기업의 해외 인수합병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   <목    차> 1. 중국기업의 해외 M&A 현황 2. 중국기업 해외 M&A의 주요 특징3. 중국기업 해외 M&A의 문제점

    • 등록일 2010.12.20
  • 상하이 다국적 기업 본부 현황

    상하이 다국적 기업의 투자 특징을 알아보고 세계 500대 기업 중 기업 본부가 상하이에 입주한 58개 기업을 대상으로 국가별, 업종별로 나누어 살펴보며, 상하이 다국적 기업 본부의 입지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요인(교통, 기업이미지, 상권의 번화성, 문화의 융합성) 에 대해 살펴봄.  <목    차> 1. 상하이 다국적 기업의 투자 특징 2. 상하이 다국적 기업 본부의 공간 집적 3. 상하이 다국적 기업 본부 입지 선정의 영향 요인 4. 시사점  

    • 등록일 2010.12.07
  • 중국 항공 운송 산업의 글로벌화 전략

    본 보고서는 중국 화물 운송 시장의 위기와 미국과 EU간에 체결한 'Open Sky'  협정에 따른 중국 및 기타 국가들의 개방화 추세, 중국 항공 운송 산업의 현황 및 글로벌화 전략을 살펴본다.   <목   차> 1. 중국 화물 운송 시장의 위기 2. 글로벌 항공 시장의 개방화 3. 중국 항공 운송 산업의 현황 4. 중국 항공 운송 산업의 글로벌화 전략 

    • 등록일 2010.11.23
  • 중국의 도시집적과 네트워크 구조의 특징

    중국 도시군의 기본 개념, 특징 및 21세기 중국 도시군의 미래 발전 모델과 중국의 미래 도시화 발전방향에 대한 핵심 대책을 알아본다.   <목    차> 1. 도시군의 기본 개념 2. 중국 도시군의 특징 3. 21세기 중국 도시군의 미래 발전 모델4. 중국의 미래 도시화 발전방향에 대한 핵심 대책

    • 등록일 2010.11.10
  • 중국 대학의 국제화와 인재육성 정책

    중국 고등교육의 육성정책 및 중국 상위대학의 경쟁력과 국제협력 현황을 살펴보고, 중국의 해외유학 현황 및 외국인 유학생 현황을 분석해 봄.   <목    차> 1. 중국의 고등교육 육성 정책 2. 주요 대학의 경쟁력 및 국제협력 현황 3. 중국의 인재육성 정책과 해외유학생4. 시사점  

    • 등록일 2010.10.19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