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6

  • 중국의 도시화 전망(1)

    중국이 보여주고 있는 놀라운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급격한 향상은 역사상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국 도시화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음. MGI(McKinsey Global Institute)는 이런 추세를 검토하여, 2025년 중국의 도시화를 전망함.2025년경 인구 100만 명이상의 도시는 유럽의 경우 35개인데 비해 중국의 경우는 221개(이중 인구 500만 명 이상인 도시도 23개)로, 중국 GDP의 90%이상이 도시경제에서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목  차>  1. 도시화 4대 유형과 중국 도시화 시나리오2. 2025년 중국의 도시화 전망

    • 등록일 2011.08.17
  • 충칭시 도농통합개혁 현황과 성과

    충칭시는 중국의 도농통합개혁 즉 사회의 공평, 안정, 경제발전을 저해하는 도시와 농촌의 호적을 이원화하여 관리하는 현재의 호적제도를 개혁하고, 관련 농촌토지제도를 개혁하는 핵심 시범지역임. 본 보고서는 도농통합 개혁의 가장 중요한 내용인 호구제개혁의 비용 및 재원조달 현황과 2010년 도농통합의 성과에 대해서 충칭시와 관련된 자료를 중심으로 정리하여 봄.   <목  차> 1. 충칭시 도농통합개혁의 개요 2. 2010년 주요부문의 개혁성과3. 기타부문의 성과와 2012년 목표

    • 등록일 2011.07.26
  • 대규모 도시화의 새로운 실험: 성유(成渝)도농종합개혁시험구

    성유(成渝)지역 2007년 6월에 전국도농종합개혁시험구로 선정되었음. 중경과 성도는 이미 11차 5개년 규획1)에서부터 서부지역 발전을 견인할 서남지역(사천, 귀주, 운남)의 중심축을 형성할 성유경제구의 핵심으로 지정됨.  중국연해지역에서 비즈니스코스트가 급속히 상승하여, 제조업이 중서부로 이전하고, 서부 중심도시 중경과 성도는 많은 제조업을 받아들여, 공업화가 급진전되고 있음.  사회의 공평, 안정, 경제발전을 저해하는 도시와 농촌의 호적을 이원화하여 관리하는 현재의 호적제도가 최대의 개혁대상이 되고 있으며 관련 농촌토지제도의 개혁도 필요로 제기되고 있음.   <목  차> 1. 성유(成渝)종합개혁시험구 2. 성유시험구의 최근 호적․토지개혁 현황 3. 개혁의 중점과 과제4. 두 가지 개혁패턴

    • 등록일 2011.07.11
  • 산동반도 해양경제구 발전계획

    산동성(山东省)이 향후 해양경제(Marine economy를 주요 성장 동력으로 하는 중국의 핵심 경제구역으로 성장할 전망임. 산동성의 향후 경제건설 전망에 관하여 살펴보기 위해서는 최근 국가발전전략으로 된 2개의 발전계획을 참조할 필요가 있음. 산둥반도는 중국 최대크기의 반도(半岛)로써 해안선 길이가 3,345㎞이며 200개가 넘는 만(湾)과 1만 톤급 이상 선박이 정박 가능한 수심을 지닌 곳은 51개 보유하고 있는 등 해양경제의 요지임.   <목  차> 1. 산둥반도 해양경제 자원 및 발전현황 2. 발전계획 및 목표3. 시사점

    • 등록일 2011.07.01
  • 중국인 해외관광 수요와 발전전망

    지금까지 아시아지역의 관광시장은 대부분 일본과 한국, 홍콩이 주도해 왔으나, 2013년이 되면 중국이 일본을 넘어서 세계 2대 관광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2020년 중국의 관광시장 규모는 국내 관광의 경우 매년 14%의 성장을 이루며 5.4조 위안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해외관광 역시 대폭 성장하여 일본의 3배에 달할 것으로 보임.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중국인의 해외여행 수요와 함께 한국 관광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봄.   <목 차> 1. 중국의 해외여행 시장규모 2. 중국인 해외여행객 특징 3. 중국인의 한국에 대한 여행수요 및 인식4. 시사점  

    • 등록일 2011.06.13
  • 중국 개인의 고액 자산 소유 현황 및 투자동향

     2010년 중국 개인의 전체 투자여유자산 규모는 62조 위안으로 전년대비 약 19% 성장.또한 천만위안(약 1조7천억원)이 넘는 자산을 소유한 고액순자산보유자는 2010년 50만명으로, 평균 소유자산이 3천만 위안, 전체 자산규모는 15조 위안(약 2,500조원)에 달함.이러한 고액순자산보유자수는 2011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59만명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그 자산규모는 18조 위안으로 늘어날 전망.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중국의 차오샹(招商)은행에서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투자 세력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의 고액자산 소유 개인의 현황을 알아보고 그 동향을 살펴보고자 함.   <목  차> 1. 중국 개인의 고액자산 소유 규모 2. 중국의 고액순자산보유자의 지역별 분포 3. 지역별 고액순자산보유자 특징 4. 중국 고액순자산보유자의 해외투자 동향5. 시사점

    • 등록일 2011.05.23
  • 우수 인재 부족에 시달리는 중국

    전 세계적으로 우수 인재에 대한 부족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국의 우수인재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우수인재 육성이 매우 시급해짐.이는 재중, 재한 기업도 같이 겪고 있는 어려움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 인재를 유치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는 상황임. 인천의 경우 국제적 교육환경이 경제자유구역의 글로벌 캠퍼스를 중심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으며, 인천소재 대학 재학 외국인 유학생의 70%가 중국인 유학생이므로 이를 잘 활용할 경우, 우리 기업과 중국이 필요로 하는 중국 우수인재 육성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됨. <목 차> 1. 심화되는 중국의 우수인재 부족 현상 2. 해외유학을 통한 중국의 인재육성 3. 인천의 중국 우수인재 육성 여건 4. 우리기업의 중국인 유학생 활용 여건5. 송도 글로벌 캠퍼스를 활용한 중국 인재 육성 방안

    • 등록일 2011.05.09
  • 중국 부유층의 명품 소비성향

     ‘사치품’이라 일컬어지는 명품에 대한 중국인의 소비가 급속히 증가하며, 2010년에는 그 소비규모가 미국을 초월하여 세계 2위에 랭크됨. 그 증가 추세는 지속적으로 이어져 올해에는 일본을 초월하여 세계 최대 명품소비 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중국사회과학원의 「상업 백서(商业蓝批书)」에 의하면 2010년 중국의 명품소비액은 94억 달러에 달함.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중국 부유층의 명품관련 소비동향에 대해 매킨지社에서 실시한 「2010년 중국소비자조사보고」와 「확대되는 중국의 명품시장」보고서를 중심으로 정리함.   <목  차> 1. 중국인의 일반적 소비패턴 2. 중국의 부유층 현황 3. 중국 부유층의 명품 소비성향4. 시사점  

    • 등록일 2011.04.19
  • 세계 화교기업 현황과 지역별 특징

    2008년 말 현재 전세계 화교(华侨) 및 화인(华人)은 약 4,800만 명으로 추산되며,  전 세계  화상기업의 총자산은 3조9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화교는 전세계에 분포하며 자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등 각 국가의 주요 경제주체이면서 해외투자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 특히 아시아지역 화교의 경제적 영향력은 간과하기 어려울 정도로 큰 세력을 형성. 본 보고서는 중국신문사 연구부(中国新闻社课题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세계에 분포한 화상기업의 자산을추정하고 국가별 특징을 분석함.   <목   차> 1. 전 세계 화교기업 현황 2. 화교기업의 최근 동향 3. 지역별 화교기업 동향 및 특징4. 시사점

    • 등록일 2011.04.05
  • 중국‘11·5계획’기간 경제적 성과와 도시발전 동향

    중국의 ‘11·5계획’기간은 중국경제가 국내외 여러 불안 요소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성장하여 종합적으로 국력을 상승시킨 5년으로 평가됨.    2010년 중국의 1인당 GDP는 2만9,748위안, GDP는 5조8,791억 달러로‘11·5계획’기간 동안 각각 연평균 10.6%, GDP는 연평균 11.2% 성장.    대외무역규모 역시 크게 확대되어 2010년 중국의 수출입액은 2조 9,728억 달러로 ‘10·5계획’기간 말보다 1.1배 증가. 외국인직접투자 누계액은 4,260억 달러로 연평균 11.9%로 증가, ‘10·5계획’기간 보다 1.6배 성장하여 2010년 세계 2위의 FDI 대상국으로 부상.   또한 경제 급성장과 함께 빠른 도시화로 도시의 경제성장이 가속화 되며, 지급(地极)이상 도시의 생산총액은 2009년 20조7,728억 위안으로 연평균 14.3% 성장, 상하이시와 베이징시의 GDP는 1조 위안을 넘어섬.   <목  차> 1. 기초 경제분야 성과 2. 대외 경제분야 성과3. 도시화와 도시 경제분야 성과

    • 등록일 2011.03.23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