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6건
-
중국의 식품 안전 관리감독 시스템 현황과 개선방향
최근 중국에서 식품안전 사건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식품 안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특히 대중들은 중국의 식품 안전 관리감독 시스템에 대하여 갈수록 높은 기대를 하고 있음. 이것은 주요하게 과학기술의 발전과 사람들의 인식 수준의 제고에 따른 것임. <목 차> 1. 중국의 식품안전 관리감독 시스템의 현황 2. 중국의 식품안전 관리감독 시스템의 문제점3. 중국의 식품안전 관리감독 시스템의 개선방향
- 등록일 2012.01.09
-
베이징(北京)의 도시브랜드 수립과 발전전략
베이징(北京)은 전국의 정치문화중심으로 창조적 산업을 발전시키는데 유리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음. 베이징은 풍부한 문화적 유산, 인재 자원, 과학기술 창조적 능력, 소비수요, 시장 시너지 효과와 정책적 지지 등 우위가 있음. 정치중심으로서의 베이징은 지도적 지위를 고수하고 있고, 문화적 중심으로서의 베이징은 전국 문화산업에서 선도적 지위에 있음.본문은 베이징이 세계적 메가시티로 발전하기 위한 목표를 세우고 베이징의 실제적 상황과 결합하여 전체적 배치, 브랜드 포지션, 광범위한 홍보, 브랜드 연동 등 4개의 전략을 수립함. <목 차> 1. 도시브랜드의 함의 2. 베이징의 도시브랜드 새 명함: 창조적 도시3. 베이징의 도시브랜드 발전전략
- 등록일 2011.12.22
-
지구온난화와 중국 저탄소경제 발전전략
중국은 국토면적이 넓은 만큼 기후변화가 다양하고 복잡하며, 생태환경 역시 취약함. 현재 기후변화 문제는 중국의 큰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음. 그러나 중국은 경제 성장 속도가 빠른 단계에 처해있고, 경제발전과 빈곤문제를 해소해야 하는 딜레마에 빠져있으며,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해야 하는 대‧내외 압력도 상당히 큼. 경제규모 확대로 중국이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이 높아지면서, 환경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압력도 점차 커지고 있음. <목 차> 1. 중국의 지구온난화와 경제발전 현황2. 중국의 기후변화 대응정책과 저탄소경제 발전전략
- 등록일 2011.12.16
-
제3 국제화 대도시로 도약하는 시안(西安)
'꽌중-티엔수이 경제개발구역 발전규획(关中-天水经济区发展规划)'은 시시옌(西咸) 일체화 건설을 가속화하고 시안(西安) 국제화 대도시를 건설할 것을 제안함. 시안은 서북지역의 중심 도시 및 꽌중-티엔수이 경제개발구역(关中-天水经济区)의 핵심도시에서 국제화 대도시로의 발전을 계획하고 있음. 이는 상하이와 베이징에 이어 국가에서 인정한 3번째 국제화 대도시로 시안과 시옌양(咸陽) 두 도시의 구조와 기능은 전면적으로 승격될 것임. <목 차> 1. 국제화 대도시 발전의 새로운 고지 - 시시옌신구(西咸新区)2. 웨이허(渭河) 생태경관벨트 건설
- 등록일 2011.11.21
-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발전
2010년 중국 전자상거래는 지속적으로 급속하게 발전하여 그 규모는 4.8조 위안에 달하며 2009년에 비해 33.5% 성장함. 중국 전자상거래는 최근 3년래 지속적인 발전으로 전성기를 맞고 있으며, 전체적 발전환경도 유리함. 또한 2010년은 중국 전자상거래의 발전에서 큰 성과를 이룬 해이기도 함. 마이카오린(麦考林), 당당(当当) 등 B2C 기업의 상장 붐이 일었음.대형 전통기업들의 전자상거래 업무, B2C 기업의 백화점 품목 취급, 플랫폼 추진 등 큰 발전을 이루었음. <목 차> 1.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규모 및 구조 2. 중국 제3자 대리운영 시장 발전 3. 중국 전자상거래 명품브랜드 투자 열풍 4. 중국 명품브랜드 인터넷구매 소비 시장 구조5.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미래 발전전망
- 등록일 2011.11.07
-
다롄투자 한국기업의 문제와 투자전망
2005년 10월에 인천발전연구원과 다롄시정부발전연구중심(大连市人民政府发展研究中心)은 공동연구팀을 구성하여 150개 다롄시 투자 한국기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함. 당시 조사기업 대부분의 경영 상태는 양호하였으나 일부기업만이 사업 초기에 있던 이유로 적자상태였음. <목 차> 1. 다롄투자 한국기업 경영상황 2. 다롄투자 한국기업의 주요 문제3. 한국기업의 다롄 직접투자 전망
- 등록일 2011.10.27
-
다롄시 한국기업투자 현황
한국은 홍콩, 일본에 이어 다롄의 3대 투자국으로 다롄에 투자하는 한국기업의 수준이 규모나 기술수준 등 크게 변모하고 있음. 2010년, 다롄시 신규 승인된 한국기업의 투자 건수는 75개로, 다롄 투자 외국기업의 총수의 15.9%를 차지함. 등록자본금은 1.59억 달러로 2%, 실제 이용 한국자본은 6억 달러로 6%임. <목 차> 1. 한국기업 재(在)다롄 직접투자규모 점차 확대 2. 다롄 투자 한국기업 주요산업 업종 3. 다롄 투자 한국기업의 투자방식 4. 다롄 투자 한국기업의 건당 투자규모 및 수준 5. 다롄 투자 한국기업 기술수준6.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추동하여 부품 계열화하는 투자방식 형성
- 등록일 2011.10.10
-
중국 서비스 무역 발전 현황과 발전전략
최근에 중국 정부가 서비스 무역 발전을 중요시함에 따라 2004년 이래 경쟁력 지수 값이 소폭 상승하였으며, 중국의 서비스 무역 국제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2007년 중국 서비스 무역 발전 보고서> 중 2006년 서비스 무역 수출입 총액은 1,917.5억 달러로서 2005년에 비하여 22.1% 증가하였으며 그중 수출이 914.2 억 달러로 23.7% 증가, 수입이 1,003.3 억 달러로 20.6% 증가함. <목 차> 1. 중국 서비스 무역의 현황 2. 중국 서비스 무역의 비교우위 분석 3. 중국 서비스 무역의 문제점4. 중국 서비스 무역의 발전전략
- 등록일 2011.09.26
-
중국의 도시화 전망(3)
전통적인 중국에 관한 견해와 달리 중국의 의사결정은 상대적으로 분권화되어 있음. 이는 중국의 지방정부들이 각기 다른 도시화의 기회와 도전에 직면해있음을 의미함. 대부분의 세금은 지방정부가 관할하고 산업보조금부터 유통허가에 이르는 의사결정을 지방정부에서 처리함. 전통적으로 중앙정부는 성장을 추구하는 지방정부의 기업가적 성향에 의존해 왔음. <목 차> 1. 도시화 시나리오별 장․단점 2. 국가정책의 집중화된 도시화 적용가능성3. 도시생산성 제고를 위한 제언 * 본 호는 제200호, 제201호와 함께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 등록일 2011.09.14
-
중국의 도시화 전망(2)
이미 중국의 도시화 수준은 1980년의 두 배 이상 증가하여 2005년에 44%가 되었고, MGI에서는 2025년에는 중국 인구의 2/3정도 64%가 도시에서 살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또 도시는 지난 20년간 중국 GDP성장의 주된 성장 요인이었으며 이는 앞으로도 20년간은 더 지속될 것이며, 현재 중국 GDP의 75%가 도시에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2025년에는 95%로 그 비중이 높아질 것임. <목 차> 3. 고용수요와 도시화 동력4. 분산된 도시화의 압력요인 * 본 호는 제200호 중국의 도시화 전망(1)과 함께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 등록일 2011.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