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6

  • 흔들리는 ‘일국양제(一國兩制)’: 홍콩 시위로 보는 중국의 미래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입후보자 자격을 제한한 전인대의 선거 안에 대한 홍콩 시민들의 반발이 2014년 9월 22일부터 홍콩 24개 대학교 학생들이 동맹 휴업을 시작으로 대규모 항의시위로 나타났음 155년간 서구 제국주의의 식민지였고,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서구와 아시아가 만나는 접점에 위치한 홍콩의 미래는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홍콩인이 홍콩을 다스린다(港人治港)”는 자치의 원칙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가? 시위의 경과, 배경 등을 탐색하고 ‘일국양제’향방, 홍콩의 민주화 운동과 중국에 미치는 영향, 홍콩 시위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대응 등 주요 쟁점 사항을 살펴보고 이후를 전망함 <목 차> 1. 시위의 경과 2. 시위의 배경과 홍콩의 불평등 3. 쟁점 1:‘일국양제’의 운명은 어떻게 될 것인가? 4. 쟁점 2: 홍콩의 민주화 운동과 중국에 미치는 영향 5. 홍콩 시위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대응:“강경하되 법에 따라” 6. 평가 및 전망  

    • 등록일 2014.12.05
  • 《중국의 Deep Reform 4》 시진핑 시대 반부패 운동의 정치적 함의

    2012년 시진핑 총서기 등장 이후 중국은 유래 없이 강력한 반부패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바, 2014년 10월 말 현재 성장ㆍ장관급(省部級) 고위간부만 53명이 면직되는 등 강력한 처벌을 실시하고 있음 또한 2014년 10월 23일 중국공산당 18기4중전회에서는 <의법치국을 위한 약간의 중대문제에 대한 중공중앙의 결정(中共中央關于依法治國若干重大問題的決定)>을 발표하여 반부패운동을 법치확립이라는 제도개혁과 결합하는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키고 있음 시진핑 시대 고강도로 전개되는 반부패 운동의 정치적 함의를 통해 향후 중국 정치개혁의 방향을 전망함 <목 차> 1. 개혁개방 이후 부패의 확산과 유형변화 2. 반부패 운동의 변천: 두 차례 전환 3. 시진핑 시대 반부패 운동의 전개4. 반부패 운동의 정치적 함의와 전망: 두 가지 질문

    • 등록일 2014.11.24
  • 최근 북중 접경협력 동향과 관련 법제 분석

    접경지대가 갖는 접점과 협력의 특징을 재발굴하고 이에 기초하여 논의되었던 2009년 이후 북중 접경협력 구상은 실패한 것인가? 이 글에서는 북한과 중국의 전략적 이해 및 관련 법제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최근 북중 접경협력 동향을 살펴봄으로서 이 같은 질문에 대한 초보적 해답을 찾고자 함 <목 차> 1. 북중 접경협력 구상의 제기 2. 접경협력과 북중의 전략적 이해 3. 관련 법제 동향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4.11.03
  • 《한중 지방교류 5》 제주와 중국의 경제교류 현황 및 향후과제

    G2로 성장한 중국의 발전변화와 갈수록 증대되는 ‘차이나파워’에 대응하기 위한 제주도 차원의 대비가 필요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국의 중요성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그에 따른 신속한 대처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 세계 최대의 잠재력을 지닌 중국이 바로 이웃하고 있다는 것은 제주에게는 큰 기회이며, 국제자유도시로서 ‘세계속의 제주’를 지향하는 제주특별자치도 차원에서도 G2 시대의 도래에 따른 새로운 중국진출 전략 수립이 필요 향후 대중국 시장진출 및 선제적 대응을 위한 중장기 미래비전이 모색되어야 함 <목 차> 1. 제주도의 對중국 교류협력 현황 2. 제주도의 對중국 경제교류 현황3. 향후 과제

    • 등록일 2014.10.20
  • 《한중 지방교류 4》 경기도의 대중국 교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중국과 지정학적으로 가장 가까운 이웃인 우리의 노력 여하에 따라 소위 ‘중국의 시대’ 도래의 최대 수혜국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앙정부 차원의 노력과는 별개로 지자체 차원에서 대중국 교류협력 강화를 준비해야 할 시점이 도래 경기도는 대한민국의 경제·사회를 이끌어 가는 핵심적인 지역이자 한·중·일을 연결하는 동아시아의 중심축으로서, 국제교류 및 대중국 교류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충분한 역량과 다양한 경험을 보유 경기도는 중국의 7개 지방정부(광둥, 랴오닝, 산둥, 허베이, 톈진, 장쑤, 지린 등)와 자매결연 및 우호협력관계를 형성함으로써, 21세기 서해안시대에 한중 양국 교류협력의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수도권의 핵심 지자체로 거듭나고 있음 경기도의 대중국 교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제교류를 ‘지방외교’의 수준으로 격상시키고, 경기도의 정체성이 반영된 교류협력 전략(체계화, 실용화, 다양화, 네트워크화)을 추진함으로써 도민의 삶의 질 향상과 道 경쟁력 강화 노력 필요 <목 차> 1. 경기도 국제교류 및 대중국교류 현황 2. 경기도 대중국교류협력 평가3. 경기도 대중국교류 발전 방향과 과제

    • 등록일 2014.10.06
  • 《한중 지방교류 3》 부산광역시의 대중국 교류 현황과 향후 과제

    부산광역시의 대중국 교류현황 분석을 통한 향후 개선방향 및 당면과제에 대해 고찰함 한중수교 이후 광역자치단체의 대중국 도시교류로는 부산이 가장 빠르게 시작할 정도로 민첩했으나 실효성 있는 성과는 미흡함 중국은 부산의 최대 교역국가로 부상했으나 무역수지는 계속해서 적자이며, 다행스럽게도 부산의 대 중국 수출 주력상품이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로 증가하고 있음 부산시는 대중국 교류과제로 “차별화된 전략수립”, “기업 및 도시간 협력촉진”, “중국 및 화교자본 유치” 등을 고려하고 있음 <목 차> 1. 부산광역시의 대중국 도시교류 현황 2. 부산광역시의 대중국 경제교류 현황 3. 부산-상하이 교류에 대한 부산시민 실태조사4. 부산광역시의 대중국 교류협력 개선방향 및 향후 과제

    • 등록일 2014.09.12
  • 《한중 지방교류 2》 인천의 대중국 교류 현황과 과제 - 도시외교, 통상·물류·투자를 중심으로

    인천은 항로와 해로 그리고 통일한국 시대에는 육로를 통해서 중국의 여러 지역과 연결됨으로써, 대 중국교류에 있어 교통과 물류 중심지로의 높은 접근성을 지님 또한 중국 산둥반도에서 인천을 거쳐 일본 요코하마와 동아시아 각계로 뻗어나간 화교 사례와 같이, 인천은 역사·문화적으로 중국의 황해권역과 동아시아를 연계하는 매개성을 갖추고 있음 황해를 사이에 두고 중국과 마주하고 있는 인천은 한국-중국 교류에 있어 전략적 거점으로서의 위상을 지니고 있으며 한중교류 활성화와 내실화를 선도해나가야 함 인천-중국 간 정치, 경제의 여러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류 현황을 파악하고 인천의 중국 교류·비즈니스 전략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목 차> 1. 인천-중국 도시외교 현황 2. 인천-중국 통상·물류·투자 현황3. 종합 및 과제

    • 등록일 2014.09.01
  • 북중 초국경 협력 현황과 시사점

    중국과 북한은 역사적으로 초국경 협력을 진행해오고 있음. 대표적으로 두만 유역 개발 계획, 나선 및 황금평 위화도 공동 개발 계획 등을 들 수 있음 이 같은 양국간 초국경 협력은 양국간 관계 뿐만 아니라 지역 국제정치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연구 사례임. 한편으로는 양국간 관계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시금석일 뿐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 국가를 초월하는 새로운 지역의 창출이라는 측면에서도 그 의의가 큼 양국간 과거 및 현재의 초국경 협력 상황에 대한 분석은 명확하게 이 양국 관계 동학의 요인을 추출해낼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함과 동시에 지역 평화 및 협력 차원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음 <목 차> 1. 북중 초국경 협력의 전사(前史)  2. 북중 초국경 협력 현황Ⅰ: 나선 3. 북중 초국경 협력 현황 Ⅱ: 황금평·위화도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4.08.18
  • 《한중 지방교류 1》 충남도의 대중국 교류협력 추진 현황과 개선 과제

    충남도는 우리나라에서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지역에 위치하고 역사․문화적으로 유사성이 강해 고래로 중국의 북방과 남방지역 모두와 교류·교역이 활발하게 이뤄졌던 지역임 전통적으로 부여와 공주는 북방민족의 뿌리를 계승하고 있고 백제의 무령왕은 중국의 양(梁)나라와 교류해 백제의 부흥을 이끌기도 했음. 또한 당진(唐津)이라는 지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충남도는 중국과 교역이 활 교류가 활발하게 이뤄졌던 지역이었음 하지만 백제의 패망 이후 충남도 지역의 대중국 교류는 소강상태에 들어갔으며 그간 다른 지역에 비해 교류가 저조했으나 최근 들어 중국의 경제적 부흥에 힘입어 충남 서해안지역의 대중국 교역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따라서 중국 부흥에 대비한 충남도의 대중국 교류협력에 관한 종합적인 대책과 전략이 요구되고 있음 <목 차> 1. 충남도의 대중국 교류협력 추진 현황 2. 충남도 각 시군의 대중국 교류협력 현황3. 충남도 대중국 교류협력의 문제점 및 개선 과제

    • 등록일 2014.08.01
  • 한중관계 내실화와 중국인 유학생 - 인천 중국인 유학생 현황

    한중관계 내실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인문유대 논의가 대두되고 있으며, 한중 인문유대 강화를 위해서는 양국 간 가교이자 다문화의 담지자인 유학생에 대한 관심이 중요함 특히, 현지에서 수학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에게 지역의 매력을 전파하는 공공외교 전개가 필요하며, 이와 관련한 공공영역에서의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시급함 이에 관련 논의와 정책 마련을 위한 토대로서 전국 중국 유학생 관련 기본 현황, 그리고 인천 중국 유학생 현황 및 실태에 대한 자료를 정리함 인천 중국 유학생 실태와 관련해서는  2014년 4월 인천시 국제협력관실에서 실시한 관련 설문조사 내용을 정리하고,이에 기초하여 지방정부 차원에서 실행할 수 있는 중국인 유학생 공공외교의 필요성을 제기함   <목 차> 1. 한중관계 내실화와 중국인 유학생 2. 전국·인천 중국인 유학생 실태 3. 종합 및 방안  

    • 등록일 2014.07.28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