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6

  • 중국의 주변국 외교전략과 한국에 대한 함의

    시진핑 지도부는 주변국 외교를 전략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미중 간 전략적 경쟁 심화 및 중국과 주변국 간 해양 영유권 분쟁 격화에 대한 적극적 대응전략임  더 나아가 중국은 미국과의 지역질서 주도권 경쟁에서 주변국을 핵심대상으로 경제통합 및 안보협력을 통해 영향력 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미중 간 전략적 경쟁 구도에서 한국은 한미동맹과 한중관계의 조화로운 발전을 추구하면서, 미중 간 경쟁이 협력으로 전환하여 ‘윈-윈’ 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함 <목 차> 1. 중국의 주변국 외교정책의 전개 2. 시진핑 시기 중국의 주변국 외교에 대한 전략적 강조3. 한국에 대한 함의  

    • 등록일 2015.04.17
  • 중국 신창타이(新常态) 시기 지역발전의 재구성- 3개 지지대 전략의 대두

    중국 정부는 2015년 3월 개최된 중국 제12차 전국인민대표대회 3차 회의를 통해 중국판 ‘뉴 노멀’로 불리는 이른바 ′신창타이(新常态)’시대에 진입했음을 분명히 함 이번 회의에서는 신창타이 시대에 걸 맞는 산업구조 재편 및 내수경제 육성을 위한 다각적 정책 방향, 과제와 함께 변화된 지역발전 전략을 제기하였음- 기존의 동부, 동북, 중부, 서부의 4대 권역 중심 지역발전 전략에서 3가지 지지대, 즉 일대일로(一带一路), 창장경제벨트(长江经济带), 징진지(京津冀)전략으로 재편 신창타이 시대에 새롭게 제기된 지역발전 전략의 주요 내용 정리에 기초하여 그 특징과 함의를 살펴 봄 <목 차> 1. 지역발전 전략의 재구성 2. 3개 지지대 전략의 주요 내용3. 종합 및 함의  

    • 등록일 2015.04.03
  • 중국의 미디어 환경 변화와 한중관계

    미디어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국가의 외교정책에 영향을 끼치고, 공공외교의 주요한 수단으로 활용되는 등 외교관계에 있어 중요한 행위자 역할을 담당 급속한 경제 성장과 함께 중국의 미디어 환경에 커다란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인터넷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는 여론이 외교정책을 포함한 중국 정부의 정책 결정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 우리는 중국과의 관계를 맺어 가는데 있어 중국의 미디어 환경, 특히 인터넷 미디어 환경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적절한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함 본 보고서는 그 기초 작업으로서 중국에서 발표된 최신 자료를 바탕으로 중국의 미디어 환경 변화와 인터넷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는 여론에 대해 살펴 봄 <목 차> 1. 미디어와 외교 2. 중국의 미디어 산업 발전 현황 3. 인터넷 공간에서의 중국 여론4. 한중관계에 주는 시사점  

    • 등록일 2015.03.23
  • 「중국도시정보 10」 한중FTA 지방협력 시범지역,산둥성 웨이하이 발전 현황

    2015년 2월 25일 한중 FTA 가서명 이후 공개된 영문 협정문의 지방경제협력 관련 조항(17조 25항)에서는 인천경제자유구역(IFEZ)과 중국 산둥성 웨이하이시(威海市)를 한중FTA 단일 시범 협력 지역으로 지정함 - 관련 협정문에 따르면 향후 각 시정부의 논의를 통해 한중 FTA의 무역·투자·서비스·산업협력 등 사항을 두 지역에서 시범사업으로 추진- 시범 결과를 검토하여 동 협력 사업을 양국 전체로 확대해 나감 중국 측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산둥성 웨이하이시의 일반현황 및 경제·산업 발전 현황 그리고 주요 관련 정책에 대한 정리를 통해, 보다 체계적인 한중 FTA 지방협력 시범사업 수립과 진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함 <목 차> 1. 일반현황 2. 경제·산업 현황 3. 대외경제 현황 4. 주요 지역발전전략 5.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3.09
  • 한·중 경협 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 간 협력방안

    한․중 양국은 FTA협상 타결을 위한 노력 강화에 합의하고, 2014년 11월 중국에서 개최된 APEC 정상회담에서 FTA협상의 실질적 타결에 합의하였으며, 이에 향후 한․중 FTA의 효율적인 활용방안과 동북아 경제협력 구축을 위한 전략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 이러한 배경에서 한․중 양국 간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지방 정부 간 협력의 필요성과 시범지역 운용을 바탕으로 한 지방정부간 협력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 <목 차> 1. 한·중 경제협력 가속화와 정부 간 협력 2. 한·중 지방정부간 협력의 필요성 3. 한·중 지방정부간 협력 방안 4. 국내 지방정부간 협력 방안5. 결론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2.22
  • 중국 제3차 경제총조사(經濟普査) 내용 및 시사점 (2)- 공업·건축업, 3차 서비스업

    중국정부가 2014년 12월 16일부터 순차적으로 발표한 중국 제3차 전국경제총조사 공보를 중심으로 중국의 전국적 생산활동 법인의 규모, 형태, 고용 등의 기본현황을 파악함 인차이나브리프 Vol. 283(2015년 1월 19일)에서는 3차 경제총조사의 개요, 경제활동 법인 기본현황, 경제구조 및 지역별 변화에 대한 내용을 정리함 인차이나브리프 Vol. 284(2015년 2월 9일)에서는 3차 경제총조사의 공업, 건축업, 서비스업에 대한 조사 내용을 정리함   <목 차> 1. 중국 제3차 전국경제총조사 개요 2. 경제활동 법인 기본현황 3. 경제구조·지역 별 변화 4. 공업·건축업 현황 5. 주요 3차 산업 현황 6.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2.09
  • 중국 제3차 경제총조사(經濟普査) 내용 및 시사점 (1)- 기본현황 및 경제구조·지역별 변화

    중국정부가 2014년 12월 16일부터 순차적으로 발표한 중국 제3차 전국경제총조사 공보를 중심으로 중국의 전국적 생산활동 법인의 규모, 형태, 고용 등의 기본현황을 파악함 인차이나브리프 Vol. 283(2015년 1월 19일)에서는 3차 경제총조사의 개요, 경제활동 법인 기본현황, 경제구조 및 지역별 변화에 대한 내용을 정리함 인차이나브리프 Vol. 284(2015년 2월 9일)에서는 3차 경제총조사의 공업, 건축업, 서비스업에 대한 조사 내용을 정리함 <목 차> 1. 중국 제3차 전국경제총조사 개요 2. 경제활동 법인 기본현황3. 경제구조·지역별 변화  

    • 등록일 2015.01.19
  • 2015년 중국경제 전망과 시사점

    중국경제는 12차 5개년 규획 기간에 진입하면서 소비중심의 성장 전환을 모색하고 있을 뿐 아니라, 과잉공급 업종 규제 강화 등 투자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면서 이른바 질적으로 향상된 내수중심의 경제 구축을 진행하고 있음 12차 5개년 규획기간 마지막해인 2015년에 진입하면서 어떻게 구조개혁 성과는 물론 지속가능한 성장의 틀을 마련할지 오는 3월 개최될 ‘양회’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더욱이 2014년 한 해 동안 가중되어온 부동산 침체 국면 지속, 그림자 금융 확산 우려, 지방재정 악화 등 하방 리스크가 지속될 경우 우리 경제에 미칠 파급 영향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도 필요함 <목 차> 1. 중국경제 하방압력 지속  2. 최근 중국경제 진단과 향후 전망3. 종합 평가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1.02
  • <한중DB 웹진 발간 10주년 기념> INChinaBrief 전체목록(2005~2014)

    2005년 1월 20일 월간한중을 기점으로 하여 2014년 12월 22일 INChinaBrief 281호를 발간하기까지 지난 10년 동안 인천발전연구원의 한중DB는 빠르고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중국 학술·정책정보를 제공해 왔습니다. *인천발전연구원은 2001년 4월 25일 중국 관련 간행물인『중국시사동향』발간하기 시작했으며, 2003년 9월 1일 중국정보 웹사이트 한중DB를 오픈했습니다. 377편의 연구보고서, 331편의 최신중국동향, 3,559건의 추천연구보고서, 1,678건의 최신기사 소개, 340건의 신간소개 등 10년간 차곡차곡 쌓인 성과를 통해 한중DB는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의 중국 지식창고로서 위상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이 같은 한중DB의 성취는 독자들의 격려와 인천발전연구원 여러 선배·동료 연구진, 연구기획본부·경영본부 선생님들의 지원 속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그동안의 도움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한중DB와 웹진 INChinaBrief가 학술연구 및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습니다.   한중DB 운영진 일동  

    • 등록일 2014.12.19
  • 2014년 주요 정책이슈 정리

    한중DB INChina Brief를 중심으로 2014년 중국 정책 이슈를 정리함 2014년 인천발전연구원 한중DB는 INChina Brief의 연간 기획시리즈인 <중국의 Deep Reform>, <도시정보> 및 <국내외 주요 정책이슈>를 통해 심화개혁을 기치로 내 건 중국의 개혁조치와 정책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그 향방을 가늠하고자 하였음 또한 <한중지방교류> 기획을 통해 심화개혁의 전환기에 한국과 중국의 교류 현황을 지역 별로 진단하고 대 중국 교류·비즈니스 지방외교의 과제를 살펴보았음 <목 차> 1. 중국 심화개혁의 주요 내용과 함의 2. 중국 권역별 거점도시 육성 현황 3. 2014년 국내외 주요 정책이슈4. 한중지방교류 현황과 과제  

    • 등록일 2014.12.19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