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6건
- 
							
				                
										
									
				                「중국도시정보 14」 중국 동북지역 거점도시 발전 현황 분석
중국의 가파른 경제성장세와 더불어 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경제로의 발전패러다임 전환, 그리고 권역별 성장 거점 대도시와 도시간 광역네트워크 전략의 등장은 우리에게지역차원의 보다 체계적인 대 중국 전략 마련을 요구하고 있음 INChina Brief <중국도시정보> 시리즈에서는 중국 화북/동북/화동/화중/서부 지역 주요거점도시의 경제역량 및 산업구조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권역 거점도시 현황 파악및 체계적 교류·협력을 전개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 중국 지역거점도시에 관한 경제지표는 주로 김수한·유다형(2015a)에 기초하고 있음 1. 동북 거점도시 개요 2. 동북 거점도시 발전현황 분석3. 종합 및 교류 방향
- 등록일 2015.09.21
 
 - 
							
				                
										
									
				                「중국도시정보 13」 중국 화북지역 거점도시 발전 현황 분석
중국의 가파른 경제성장세와 더불어 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경제로의 발전패러다임 전환, 그리고 권역별 성장 거점 대도시와 도시간 광역네트워크 전략의 등장은 우리에게 지역차원의 보다 체계적인 대 중국 전략 마련을 요구하고 있음 INChina Brief <중국도시정보> 시리즈에서는 중국 화북/동북/화동/화중/서부 지역 주요 거점도시의 경제역량 및 산업구조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권역 거점도시 현황 파악 및 체계적 교류·협력을 전개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 중국 지역거점도시에 관한 경제지표는 주로 김수한·유다형(2015a)에 기초하고 있음 <목 차> 1. 화북 거점도시 개요 2. 화북 거점도시 발전현황 분석3. 종합 및 교류 방향
- 등록일 2015.09.07
 
 - 
							
				                
										
									
				                중국 신선물류 현황과 시사점
중국의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냉동식품(frozen food) 수요 증가가 신선물류 유통시스템의 급속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그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음 현재까지 중국의 신선물류산업은 큰 규모는 아니지만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2014년 말 기준으로 중국의 신선물류 산업규모는 약 3조 8,700억 위안으로 추산되며 이 규모는 전년 동기대비 22% 증가하였음 아직까지 선진국에 비해 신선물류 시장은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으나, 정부의 관련 정책 제정으로 냉장운영에 대한 기준 개선, 신선물류 시설의 적정온도 기준 등이 마련되는 등 수시로 변화하는 중국 신선물류 정책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음 <목 차> 1. 중국의 농수산물 생산 현황 2. 중국의 신선물류 규모 및 관련 정책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8.17
 
 - 
							
				                
										
									
				                중국 《전국유통핵심도시배치계획》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중국 정부는 2015년 6월 1일《전국유통핵심도시배치계획(全國流通節點城市布局規劃)》을 발표함 - 이 계획에 따르면 지역별로 분포하고 있는 거점 도시 및 도시군이 중국 유통네트워크의 절점(節点:node)으로 기능하게 됨- 일대일로, 창장경제벨트, 징진지로 재편된 중국 지역발전 전략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 동 계획 내용의 정리를 통해 전국적 유통네트워크 정비·발전을 위한 중국 정부의 정책 지향과 목표를 가늠하고자 함 <목 차> 1. 권역 거점도시 연계망 구상 2. 《전국유통핵심도시계획》의 주요 내용 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8.03
 
 - 
							
				                
										
									
				                중국 개혁2.0 시대와 정치모델의 모색
18차 당대회 이후 중국의 정책 초점은 제2의 개혁을 성공적으로 완성하기 위한 것에 맞춰져있으며,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 개혁2.0 시대에는 근본적인 제도 혁신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뒷받침해주는 정치개혁모델이 요구됨 이에 따라 중국이 새롭게 정립하고자 하는 ‘사회주의민주정치’는 ‘전면심화개혁’의 과제를 완수하기 위한 정치적 조건을 확립하려는 목적 뿐 아니라, ‘민주’에 대한 적극적 해석을 통해 서구의 민주 담론 주도권을 깨고, 나아가 중국정치체제의 정체성과 그 구성적 특징을 찾는 과정으로 파악해 볼 수 있음 이를 위해 다시 ‘인민’을 호출하고 당의 역할을 강조하지만, 중국 사회주의민주정치가 공감을 얻고 구체적으로 실행되려면 인민을 위한 정책을 관철시켜야 할 뿐 아니라 인민 스스로가 ‘주인으로서의 권리’를 느끼고 행사할 수 있어야함 <목 차> 1. 개혁 2.0시대로의 진입 2. 개혁 2.0시대의 변화와 특징 3. 개혁 2.0시대의 중국정치모델을 모색하다4. 평가와 전망
- 등록일 2015.07.20
 
 - 
							
				                
										
									
				                중국 농민공 현황 및 특징 -『2014 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분석-
중국 국가통계국이 2015년 상반기 발표한 『2014년 전국 농민공 모니터링조사보고』내용을 중심으로 중국 농민공 현황 및 특징을 살펴봄 중국 국가통계국은 2008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보고(全国农民工监测调查报告)》를 통해 매년 전국 농민공 규모, 이주현황, 고용형태, 거주환경 및 사회보장제도 참여 등에 대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음 이 조사는 사회주의 중국의 체제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중국 농민공에 대한 중요한 현황 자료를 제공해 줌으로써 당대 중국의 사회구조를 파악하고 전망할 수 있는 중요한 이해의 틀을 제공해 주고 있음 <목 차> 1. 조사 배경 및 개요 2. 전국 농민공 조사의 주요 내용 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7.06
 
 - 
							
				                
										
									
				                중국 민관협력(Public Private Partnership:ppp)지역개발 현황 및 시사점
중국은 빠른 도시화로 인한 도시기반시설·공공서비스 공급 수요 증대, 지방정부 재정부담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 민관협력사업이 확대되고 있음 관련 정책 동향 및 대표적 사례로 꼽히는 구안공업단지를 검토에 기초하여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함 이를 통해 중국 도시 기반시설·공공서비스 시장에 대한 한국의 진출 여건을 가늠할 수 있을 것임 <목 차> 1. 민관협력(PPP)의 개념 및 내용 2. 민관협력사업 추진현황 및 특징 3. 사례분석: 허베이성 구안공업단지 사례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6.29
 
 - 
							
				                
										
									
				                중국, 뉴 유라시아 육교(New Eurasia Land Bridge) 건설 현황과 시사점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은 기존 뉴 유라시아 육교 건설을 새로운 대외 정책의 핵심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음 이 사업은 기존에도 추진 중이었지만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이 일대일로 구축을 핵심 정책으로 삼으면서 더욱 더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뉴 유라시아 육교 건설은 기존의 물류 유통망의 다양화를 넘어서 국제정치경제적인 차원에서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것인바,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방안 마련을 우리에게 요구하고 있음 <목 차> 1. 뉴 유라시아 육교의 내용과 건설 현황 2. 일대일로(一带一路)와 뉴 유라시아 육교3. 종합 및 시사점 그리고 대응방안
- 등록일 2015.06.05
 
 - 
							
				                
										
									
				                「중국도시정보 12」 환발해 권역 성장거점, 중국 톈진시 발전 현황 분석
중국 환발해지역 중점 공업도시인 톈진시는 국제항공·물류의 중심지라는 강점을 활용하여 금융서비스, 상업, 대외무역 등 서비스업이 발달한 종합적 경제도시 나아가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음- 특히 톈진시는 최근 징진지 수도권 일체화 전략과 더불어 국가급 자유무역구로 지정됨으로서 세계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는 결정적 전기를 마련함 경제·산업 및 대외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톈진시의 발전 현황과 추세를 점검, 톈진과의 교류·비즈니스 강화와 내실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 <목 차> 1. 시 개요 2. 경제·산업 현황 및 추세 3. 대외경제 현황 및 추세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5.26
 
 - 
							
				                
										
									
				                「중국도시정보 11」 중국 창장중역도시군발전계획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중국 국무원이 3월 26일 비준한 《창장중역도시군발전규획(长江中游城市群发展规划)》전문이 4월 17일 공개됨 이 계획은 중국 중앙정부의 중부굴기전략, 창장경제벨트 계획 그리고 국가신형도시화계획 등 중장기 지역발전 구상의 권역 액션플랜 성격을 지님 동 계획 내용의 정리를 통해 중속성장시대의 중국 지역발전 전략의 지향과 목표를 파악하는 한편 중부 내륙 지역 발전을 전망하고자 함 <목 차> 1. 제기 배경과 목표 2. 창장중역도시군의 구성 3. 《창장중역규획》의 주요 내용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