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6

  • 「중국도시정보 17」 중국 산둥성 권역 주요 도시 발전 현황 및 전망

    o 중국의 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경제로의 발전패러다임 전환, 그리고 권역별 성장 거점 대도시와 도시간 광역네트워크 전략의 등장은 우리에게 지역차원의 보다 체계적인 대 중국 전략 마련을 요구하고 있음 o INChina Brief <중국도시정보> 의 일환으로 본 호에서는 산둥성 동부연해/ 중서부내륙/ 남부 3대 권역의 17개 지급시의 경제지표 조사를 통해 각 도시들의 경제 분야별 현황을 비교하고 향후 발전을 전망함- 이 보고서의 경제지표 등 조사 내용은 김수한·유다형(2015)에 기초하고 있음 <목 차> 1. 지역발전의 재편과 거점도시의 성장 2. 3대 권역 주요 도시 발전 현황3. 종합 및 전망

    • 등록일 2016.07.18
  • 중국의 성장전략 전환: 소비 주도와 공급측 개혁

    o 중국은 1970년대 말 개혁·개방 이후 연평균 약 10%에 이르는 고속성장을 이어왔지만 뉴노멀 시대에 진입하면서 성장이 둔화되고 있음- 중국의 성장 둔화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특히 시진핑의 뉴노멀을 거치며 성장전략을 전환한 데에 기인함 o 중국은 과거의 수출 및 투자 주도형 고도성장에서 내수 소비 중심으로의 안정적인 성장을 꾀하고 있음 o 최근에는 또 수요측 구성 변화를 강조하던 데에서 공급측 개혁을 보다 강조하며 수요와 공급 간 균형을 이루어 가겠다는 입장임 o 이 같은 중국의 성장전략 전환 및 이에 따른 성장 둔화는 한국경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됨 <목 차> 1. 성장 둔화와 성장전략 전환 2. 수출 및 투자 주도에서 소비 주도로 3. 수요측 구성 변화에서 공급측 개혁으로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6.07.04
  • 중국 자동차 산업의 현재와 미래- 로컬업체 성장성 분석을 중심으로

    o 2015년 중국 자동차 산업은 ‘로컬, SUV, NEV(친환경차)’를 특징으로 성장세를 유지했으며, 중장기적으로도 안정적인 발전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음 o 중국의 풍부한 내수와 제조업 인프라 기반을 고려해 보면, 일부 로컬업체는 미래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으로 예상됨 o 12대 로컬 업체를 중심으로 장기성장성, 재무안정성, 로컬브랜드 경쟁력을 비교해, 중국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히든 챔피언'은 누가 될지 분석함 <목 차> 1. 2015년 중국 자동차 산업 회고 2. 중국 자동차 산업의 미래   : 로컬업체 성장성 분석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6.06.20
  • 중국 농민공 현황 및 특징-『2015 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분석-

    o 중국 국가통계국이 2016년 5월 발표한《2015년 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보고(全国农民工监测调查报告)》의 조사 내용을 중심으로 중국 농민공 현황 및 특징을 살펴봄- 인천발전연구원 한중DB에서는 중국국가통계국 자료에 기초하여 관련 보고서를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작성함으로서 중국 농민공 현상의 특징과 패턴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o 중국 국가통계국은 2008년부터 시행하고 있는《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보고》를 통해 매년 전국 농민공 규모, 이주현황, 고용형태, 거주환경 및 사회보장제도 참여 등에 대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음- 이 조사는 사회주의 중국의 체제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중국 농민공에 대한 중요한 현황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음 <목 차> 1. 조사 배경 및 개요 2. 전국 농민공 조사의 주요 내용  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6.06.07
  • 중국 기술추격 전략의 성과와 시사점- 민용 항공기 독자개발을 중심으로

    o 중국은 2006년경부터 기존의 ‘시장/기술 교환’에서 ‘자주 혁신’으로 기술추격전략의 변화를 시도했음 - 그 성과는 매우 빠르게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대표적인 예가 현재 독자 개발을 통해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고속철 산업임  o 최근 독자 개발에 성공한 중국 민용 항공기 분야를 사례로, 전반적인 중국 기술 추격 전략 상황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 및 한국의 대응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함  <목 차> 1. 중국 기술추격 전략의 변화  2. 민용 항공기 독자 개발 현황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6.05.23
  • 중국 광역수도권 일체화에 따른 허베이성 공간/산업 전략

    o 2016년 허베이 성정부는 <허베이성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제13차5개년 규획(河北省国民经济和社会发展第十三个五年规划纲要)>(이하 <허베이성 13·5규획>)발표를 통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허베이성 지역발전의 방향과 과제 제시- 허베이성은 <13·5규획>기간 베이징-톈진-허베이를 아우르는 수도권일체화 지역발전 전략인 <징진지협동발전>에 보조를 맞춘, 지역의 공간구상과 산업육성 방안 강조 o 허베이성 지급시들의 경제규모 및 산업비중/특화도 분석을 통해 각 도시들의 여건과 현황을 점검하고 <허베이성 13·5규획>에 기초하여 허베이성 공간/산업 전략 육성방향을 정리함 <목 차> 1. 허베이성 지역발전을 위한 전환점 2. 허베이성 4대 권역 공간 구성 및 경제 규모   3. 허베이성 4대 권역 산업 현황 및 발전 방향   4. 종합

    • 등록일 2016.05.10
  • 수도기능 강화를 위한 베이징의 공간·산업·대외전략

    o 2016년 베이징 시정부는 <베이징시국민경제와 사회발전 제13차5개년 규획(北京市国民经济和社会发展第十三个五年规划纲要)>(이하 <베이징 13·5규획>)발표를 통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베이징시의 지역발전 전략의 방향과 정책 과제 제시 o 베이징-톈진-허베이를 아우르는 수도권일체화 지역발전 전략인 <징진지협동발전> 정책 추진에 따라, 13·5 규획 기간 수도로서의 베이징시 기능·역할 강화를 위한 일련의 정책이 매우 빠르게 추진될 것으로 전망됨- <베이징 13·5규획>에 기초하여 향후 베이징시가 추진할 공간/산업/대외전략 내용을 정리하고 그 특징과 함의를 살펴봄 <목 차> 1. 베이징 <13·5규획> 개요 2. 공간 구상 3. 경제·산업 전략 4. 대외연계 전략5.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6.04.18
  • 중국 환발해 지역발전의 주요 내용 및 특징- 공간·산업·대외개방

    o 중국은 2016년 3월 <환발해지구합작발전요강(环渤海地区合作发展纲要)>(이하 환발해발전요강)을 발표함- <환발해발전요강>은 광역수도권 일체화 국가전략인 <징진지협력발전>전략 실시에 따른 환발해 지역발전에 대한 전략방향과 지침, 정책과제 제시 o ▲배경 및 목표 ▲공간배치 ▲ 인프라 ▲환경 ▲산업 ▲대외개방 ▲도농발전 ▲ 정책집행으로 구성되어 있는 <환발해발전요강>을 중심으로 중국 환발해 지역발전 전략의 주요 내용과 특징을 정리함 - 도시군을 중심으로 한 공간발전 구상, 권역 거점도시 산업특화 등 경제전략·대외개방을 중점적으로 살펴봄- 이에 기초하여 중국 환발해 권역 거점도시들의 발전양상을 전망하고 대 중국 교류·비즈니스 관련  시사점을 도출함 <목 차> 1. <환발해발전요강> 개요  2. 공간발전구상 3. 산업육성 및 대외개방 전략     4. 인프라, 환경, 도농발전 등  5.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6.04.04
  • 중국 제13차5개년규획의 주요 내용과 특징 - 산업·지역·대외관계

    o 2016년 3월 16일 폐막된 중국 제12기 전국인민대표대회 4차 회의를 통해 <국민경제와사회발전제13차5개년규획>심의·비준  - <13·5규획>은 향후 지속가능한 성장의 토대 마련을 위한 일련의 구조 조정과 더불어 성장동력 확보라는 과제 해결을 위해 경제·산업 및 정치·사회 제 영역에 걸친 전략의 방향과 정책과제 제시 o <13·5규획>의 ▲목표와 기조 ▲경제산업 ▲지역발전 ▲대외개방 ▲민생 ▲정치사회 ▲기타의 7분야 가운데 일부 중점 내용을 정리하고 그 특징과 시사점을 살펴 봄 <목 차> 1. 배경 및 구성 2. 목표와 발전 기조 3. 주요 정책 내용과 특징  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6.03.21
  • 중국 인터넷 시장 규모와 활용 현황

    중국 정부는 1997년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 설립을 통해 중국인터넷 관련 각종 정보를 조사·집적하여 정보통신 정책 수립에 활용- CNNIC에서는 연 2회 <중국인터넷발전현황보고> 대외발표 2016년 1월 CNNIC가 발표한 <중국인터넷발전현황통계보고>는 2015년 말 기준 중국 인터넷 환경 및 시장규모,  기업과 개인의 인터넷 활용 분야 및 추이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있음- 특히, 최근 중국 인터넷 활용에 있어 중요한 기기이자 매체로 부상하고 있는 스마트폰 의 활용 현황과 잠재력에 대한 내용이 주목됨 CNNIC의 <중국인터넷발전현황통계보고> 에 기초하여 중국인터넷 환경 및 규모, 그리고 중국 소비자들의 인터넷 활용 분야 및 추이를 정리하고 시사점을 도출함 <목 차> 1. 중국 인터넷 환경 및 규모 2. 중국 인터넷 활용 현황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6.03.07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