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6

  • 중국 농민공 현황 및 특징 -『2016 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분석-

    중국 국가통계국이 2017년 4월 발표한《2016년 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보고(全国农民工监测调查报告)》의 조사 내용을 중심으로 중국 농민공 현황 및 특징을 살펴봄 중국 국가통계국은 2008년부터 시행하고 있는《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보고》를 통해 매년 전국 농민공 ▲규모 ▲이주현황 ▲고용형태 ▲거주환경 ▲사회보장 등 관련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음 인천발전연구원 한중DB에서는 중국국가통계국 자료에 기초하여 관련 보고서를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작성하여 중국 농민공 현상의 특징과 패턴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옴 <목 차> 1. 조사 배경 및 개요 2. 전국 농민공 조사의 주요 내용 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7.05.22
  • 중국의 여론파워 : 대중에 의한 정책 의제 설정

    2000년대 들어, 공산당 지도부에 의해 폐쇄적으로 이루어지던 정책 의제 설정에 대한 대중적 참여가 가시화되고 있음 공공지식인의 등장,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언론 그리고 인터넷과 SNS를 통한 대중의 참여는 공산당 지도부에 압력을 가해 대중이 선택한 의제가 정책적 전환을 이루어냄 정책 의제 설정에 대한 일반 대중의 영향력 확대는 향후 한중 관계의 발전과 문제 해결에 대한 새로운 방법적 모색을 가능하게 함 <목 차> 1. 중국 정책 의제 설정의 특징 2. 대중압력형 모델의 등장과 발전  3. 정책 의제 설정 모델 전환과 중국 정치의 변화 4. 한중 관계에 주는 시사점과 정책적 함의

    • 등록일 2017.05.08
  • 중국 중서부 내륙지역의 성장 및 한국과의 교류 현황

    중국은 지역 간 불균형 해소를 위한 내륙지역 경제발전 정책을 펼치고 있음 중국 중서부 지역 경제역량 및 ‘13.5 규획’의 중국 중서부 발전전략의 주요 특징을 정리하고, 향후 발전을 전망함 한국과 중국 중서부지역의 교류현황 분석 등을 통해 향후 중국 중서부 지역 교류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함 <목 차> 1. 개요 2. 중국 중서부지역 발전전망  3. 한국-중국 중서부 지역 교류 현황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7.04.17
  • 사드 배치에 따른 한중 갈등 현황 및 전망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로 인한 한중 갈등이 깊어가면서 수교 이후 최악의 양국 관계 상황에 놓임- 한미 당국의 사드배치 선언 이후 배치 철회 또는 지연을 위한 중국의 압박조치가 지속적으로 확대·강화됨 사드 배치 단계별 중국의 대응 양상과 특징을 정리하고 향후를 전망함. 또한 인천 지역 의 피해 현황를 점검하고 지역 차원에서의 기본 대응 방향을 제안함 <목 차> 1. 사드 배치에 따른 한중 갈등 현황  2. 중국의 대응 및 특징3. 향후 전망 및 지역 차원의 대응방향  

    • 등록일 2017.04.03
  • 중국 인터넷 시장 및 활용 현황

    중국 정부는 1997년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 설립을 통해 중국인터넷 관련 각종 정보를 조사·집적하여 정보통신 정책 수립에 활용- CNNIC에서는 연 2회 <중국인터넷발전현황보고> 대외발표 2017년 1월 CNNIC가 발표한 <중국인터넷발전현황통계보고>는 2016년 말 기준 중국 인터넷 환경 및 시장규모,  기업과 개인의 인터넷 활용 분야 및 추이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있음- 특히, 최근 중국 인터넷 활용에 있어 중요한 기기이자 매체로 부상하고 있는 스마트폰 의 활용 현황과 잠재력에 대한 내용이 주목됨 CNNIC의 <중국인터넷발전현황통계보고> 에 기초하여 중국인터넷 환경 및 규모, 그리고 중국 소비자들의 인터넷 활용 분야 및 추이를 정리하고 시사점을 도출함 <목 차> 1. 중국 인터넷 환경 및 규모 2. 중국 인터넷 활용 현황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7.03.20
  • 「중국도시정보 20」 중국 베이징의 경제산업 발전과 공간의 재편

    중국 광역수도권의 중심축인 베이징시가 갖는 경제·산업 특징과 공간 배치는 베이징-톈진-허베이 일체화의 광역수도권 일체화 지역발전 전략 파악을 위한 중요한 첫 걸음임 베이징시는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사회주의 중국의 수도로서 축적해 온 자원과 강점을 활용하여 지식기반형 경제를 육성하고 이에 부합하는 경제·산업 공간 배치와 조정을 해 왔음 1980년대 이래 베이징시의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베이징의 경제·산업 및 공간배치 기본 방향과 정책 내용을 정리함- 본문의 주요 내용은 김수한·유다형(2016:31-41)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음 <목 차> 1. 중국 광역수도권 일체화 전략과 베이징 2. 베이징 경제산업 발전과 공간 변화 3. 징진지 전략에 따른 베이징의 변화 4. 종합 및 전망

    • 등록일 2017.03.06
  • 중국 국토공간 개발 방향과 특징-<전국국토규획강요 2016-2030> 주요 내용

    2017년 2월 중앙정부 명의로 발표된 <전국국토규획강요 2016-2030>은 2016년부터 2030년까지의 ▲국토공간개발 ▲자연환경보호 ▲국토종합관리에 대한 강령성 계획임- <전국국토규획강요>은 국토 개발/보호/관리에 대한 기본 지침이자 유관 계획의 기초 로서 국토·공간 관련 국가사업의 지도·통제 작용을 하게 됨 <전국국토규획강요>에서 제시하고 있는 국토공간 개발 목표와 전략에 대한 검토를 통해, 시진핑 집권 이후 점차 구체화되고 있는 다핵네트워크 지역개발 전략의 흐름과 특징을 확인함  <목 차> 1. <전국국토규획강요 2016-2030> 개요  2. 중국 국토공간 개발 주요 목표 3. 중국 국토공간 발전의 기본 방향과 전략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7.02.20
  • 중국 인구 현황과 추세-<국가인구발전규획 2016-2030> 주요 내용

    2017년 1월 말 발표된 <국가인구발전규획 2016-2030>을 중심으로 중국 정부가 추산하고 있는 인구 현황 및 추세를 정리, 중국 중장기 경제사회 발전 추이와 특징을 가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함 <국가인구발전규획 2016-2030>은 급속한 노령화 등으로 인한 중국이 직면하고 있는 인구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중국의 장기 전략 방향과 지침을 담고 있음 <목 차> 1. <국가인구발전규획 2016-2030> 개요  2. 중국 인구 규모 및 구조 3. 중국 인구 추세 및 특징 4. 중국 인구 중장기 목표5.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7.02.06
  • 중국 경제 부문별 정책 동향과 전망

    2017년은 13‧5규획 집행이 본격화 되는 시기이자, 공급측 개혁을 통한 공업구조 전환과 소비구조 업그레이드를 구축하는 ‘신창타이(新常态) 2.0’의 원년으로 시장화를 촉진하려는 정부정책이 어느 때보다 강력히 투영되는 ‘역설’이 주요 특징임 중국은 2017년 경제성장 목표치를 명시하지 않고 성장 목표구간을 설정함으로써, 경제성장에 대한 정부의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중장기 지속가능한 발전전략 집행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경제체질을 바꾸려는 공급측 구조개혁에 정책을 집중하고자 함 <목 차> 1. 2017년 중국경제 진단과 정책 방향   2. 2017년 각 부문별 경제정책3. 2017년 각 분야별 전망    

    • 등록일 2017.01.23
  • 2017년 중국 경제 주요 이슈와 시사점

    2017년 중국 경제는 대내적으로는 ‘삼거일강일보(三去一降一补)’ 등 구조개혁 전략을 추진할 것으로 보이나, 미국 금리인상, 트럼프노믹스 등 대외변수 향방에 따라 경기회복 지연 가능성도 상존 중국 경제가 직면한 하방리스크가 점차 확대되는 가운데, 올해는 신창타이 과정에서 경착륙 우려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관건인 것으로 판단됨 - 2017년 중국정부가 추진하려는 부동산, 부채, 과잉생산 등 구조적 문제 해소는 자칫 경기회복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 재정 및 통화 정책의 실효성이 저하되면, 위안화 평가절하, 유동성, 자본유출 등 금융 및 실물 경제에 큰 타격을 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이에 따라 2017년 중국 경제의 주요 리스크를 점검하고 향후 전망과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함 <목 차> 1. 중국 경제의 하방 리스크 확대  2. 중국 경제 주요 이슈 현황과 전망3. 시사점  

    • 등록일 2017.01.16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