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중국의 FTA 추진 현황
1. 협상완료국
가. 중·ASEAN FTA
나. 중·칠레 FTA
다. 중·파키스탄 FTA
2. 협상진행국
가. 중·호주 FTA
나. 중·뉴질랜드 FTA
다. 중·GCC FTA
3. 중·홍콩 CEPA
4. 주요 논의대상국
가. 상하이협력기구(SCO)
나. 한·중 FTA 및 한·중·일 FTA
제3장 중국 FTA 정책의 목적과 결정요인
1. 외교·안보적 측면
가. 중국의 외교정책과 FTA 정책
나. 중국의 안보정책과 FTA 정책
다. 중국의 FTA 추진의 기본 이념
2. 경제적 측면
가. 중국의 대내외 경제정책과 FTA 정책의 연관성
나. FTA와 ‘走出去’ 전략의 연계
3. 국가(지역)별 FTA 추진동기
제4장 중국의 FTA 추진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1. FTA 추진 결정요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
2. 실증분석 모형 설계
가. 분석방법 개요
나. 분석모형
3. 실증분석 결과
가. 추정 결과
나. 한계효과 추정
다. 실증분석 결과의 함의
제5장 중국의 FTA 협상분야별·산업별 주요 쟁점
1. 중국의 FTA 협상분야별 입장
가. 관세철폐
나. 원산지규정
다. 투자보장
2. 중국의 FTA 산업별 입장
가. 농업
나. 제조업 및 서비스업
제6장 한·중 FTA에 대한 시사점
1. 한·중 FTA에 대한 중국의 추진동기
2. 예상 쟁점 및 양국의 입장
가. 협상분야별 예상 쟁점
나. 산업별 예상 쟁점
3. 한국의 대응전략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