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신간소개

  • 홈
  • 신간소개
NO IMAGE

현대중국경제의 이해

  • 저자

    한중사회과학연구회

  • 역자

    한중사회과학연구회

  • 출판사

    이채

  • 출판일

    2006-09-22

  • 등록일

    2006-10-09

     
 
 [책소개]

한중 양국의 소장학자들로 구성된 한중사회과학연구회가 연 1회 그간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하여 발간하는「현대 중국의 이해」시리즈 4번째 권. 이 책은 현재 중국의 경제가 어떤 과정을 짚어 형성되었으며 그 구체화된 실체는 어떤 것인가를 한국과 중국의 소장학자들이 현장 분석한 결과물이다.

총 3부로 구성된『현대 중국 경제의 이해』는 1부 '거시편'에서는 중국 경제발전 전략을 시작으로 지역균형발전 정책 진행 과정, 기업개혁, 사회주의 지속성 등 경제이론 및 발전전략을, 2부 '미시편'에서는 중국 부동산 개발시장의 동향, 금융제도, 조세제도 등 산업 및 정책을 살펴본다.

그리고 마지막 3부 '한중관계'에서는 한중 경제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투자구조 변화와 청산을 중심으로 자세하게 분석해본다. 한중수교 이후 양국간 무역 및 투자가 괄목한 만한 성장세를 보이는 요즘 이 책이 중국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중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 저자소개]
 
 이상만 : 1959년 충북 출생. 동국대 정치학과 학사, 석사, 박사. 중국인민대학 정치경제학 박사. 현 미래정경연구소 연구위원.
장캉즈(張康之) : 1957년 중국 장쑤성 출생. 난징대학 졸업, 중국인민대학 철학박사. 현 중국인민대학 공공관리학원(公共管理學院) 행정관리학과 교수.
서운석 : 1969년 충남 출생.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 석사, 중국인민대학 공공관리학원 행정관리학과 박사.
홍정륜 : 1970년 서울 출생. 청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베이징대학 국제관계학원 석사, 박사학위 취득. 현 청주대학교 중국통상학과 교수.
박인성 : 1957년 서울 출생. 서울시립대 건축공학과 학사, 서울대 환경대학원 석사, 중국인민대학 구역경제 및 성시관리연구소 박사학위 취득. 현 저장(浙江)대학 토지관리학과 교수.
구기보 : 1970년 강원 출생. 한국외국어대 중국어과 학사, 동 대학 국제지역대학원 석사, 중국인민대학 재정금융학원 박사학위 취득. 현 배재대학교 중국통상학과 교수.
김경환 : 1958년 인천 출생, 인하대 회계학과, 동 경영대학원 석사(회계학 전공), 중국인민대학 재정금융학원 경제학박사(중국조세 전공), 현 강남대학교 중국학대학 실용지역학과 교수.
김혜진 : 1976년 서울 출생. 경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석사, 중국인민대학 경제학원 박사학위 취득, 현 대구경북연구원 책임연구원.
정혜영 : 1974년 서울 출생. 호서대학교 중국학과 학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중국학과 석사, 중국인민대학 사회학과 경제심리학 박사학위 취득. 현 호치민국립대 동양학부 중국학과 강사.
박상수 : 1964년 서울 출생. 한국외국어대 중국어과 학사, 중국인민대학 경제학원 박사학위 취득.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북경대표처 대표, 주중한국대사관 중국경제통상전문가 역임. 현 충북대학교 국제경영학과 교수.
 
 목차
 
  제1부 거시편: 경제이론 및 발전전략
제1장 중국의 경제발전 전략과 축적체제의 변화 _ 이상만
제2장 중국의 지역 균형발전 정책 진행 과정 및 효과 분석―서부대개발 정책을 중심으로 _ 쟝캉즈??서운석
제3장 중국 민영경제 성장과 발전의 정치경제 _ 이상만
제4장 중국의 기업개혁과 사회주의 지속성 _ 홍정륜

제2부 미시편: 산업 및 정책
제5장 중국 부동산 개발시장의 동향과 진출 전략 _ 박인성
제6장 중국의 금융제도와 금융시장의 발전 _ 구기보
제7장 중국의 조세제도 _ 김경환
제8장 다국적기업과 한국기업의 중국 내 연구개발(R&D) 활동 현황 및 시사점 _ 김혜진
제9장 중국 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 실태 조사 연구 및 한국기업의 대응 _ 정혜영

제3부 한중관계
제10장 한중 경제의 현재와 미래: 한중 양국의 교역-투자구조 변화와 청산을 중심으로 _ 박상수
 
 출판사 서평
 
 중국 시장 현장 분석 시리즈 ‘현대 중국의 이해’
인구 13억, 2005년 국내총생산(GDP) 기준 경제 규모 세계 6위, 중국은 분명 대국이다. 중국경제에의 나날이 늘어가는 의존도로 말미암아 “중국이 기침하면 우리는 독감에 걸린다”는 표현이 공공연히 쓰이는 실정이다. 수많은 기업이 앞뒤 가리지 않고 중국 시장에 뛰어든 상황에서 ‘차이나 리스크’를 적절히 예상하고 그에 따른 체계적인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은 중국 시장을 염두에 둔 모든 기업에게 선택 사항이 아닌 사활이 걸린 문제가 되어 있다. 현재 중국의 경제가 어떤 과정을...
 

    
  • 담당자

    유다형

  • 전화번호

    032-260-2618

  • 이메일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하기

확인

아니오